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 정보

코로나19 백신의 종류와 원리

by 소망스러움 2021. 8. 27.

오늘 코로나 백신 화이자 1차 접종하고 왔습니다. 지금까지 뻐근한 거 빼고는 증상은 없습니다.  백신 접종 전에 알았으면 더 좋았겠지만 맞고 나니 더 백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백신접종중
백신접종

 

2020년에 발생해서 2021년 8월 지금까지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화이타, 모더나, 얀센, 노바벡스, 시노팜, 스푸트니크 v가 있습니다. 백신 종류에 따라 접종 횟수, 접종 기간, 보관 등에 차이가 있습니다. 

 

 

백신의 원리

바이러스에 직접적으로 감염되기 전에 인위적으로 병원체(항원) 등을 투여하여 인체 내에서 면역반응을 통해 항체를 형성하여 바이러스가 직접적으로 침입했을 때 면역력을 갖도록 하여 감염과 피해를 최소화 시키는 원리입니다.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몸속에 기억 세포를 만들어서 같은 병원체가 들어왔을 때, 바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백신의 종류

1. mRNA백신 

 제가 접종한 mRNA백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RNA는 메신저 리보핵산으로 RNA는 유전자 정보를 매개하여 유전자 발현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핵산 중 하나입니다.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mRNA를 투여하여 표면 항원 단백질을 생성해 면역반응을 유도합니다. 단점은 RNA의 경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보관이 까다롭다는 점입니다. 백신은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있습니다. 

2. 바이러스벡터 백신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닌 다른 바이러스에 넣어 투여하여 표면항원 유전자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다른 바이러스는 사람에 감염되지 않는 바이러스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얀센 백신, 스푸트니크 V가 있습니다. 

3. 불활화 백신

대표적인 백신으로 사백신이라고도 합니다. 바이러스 자체의 병원성을 제거하고 투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코로나19백신으로는 시노팜 백신이 있습니다. 

4. 재조합 백신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만든 항원 단백질을 투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신 제조방법입니다. 코로나19 백신으로는 노바백스 백신이 있습니다. 

 

 

백신 종류별 접종 횟수, 간격 및 보관방법

1. 화이자

화이자 백신은 미국의 화이자와 독일의 바이오엔텍이 공동 개발한 백신입니다. 백신명은 코미나티주입니다. 위에 설명드렸듯이 mRNA백신으로 불완전하여 보관 및 유통이 까다롭습니다. 초저온 냉동에서 보관합니다. 접종 횟수는 2회이며 접종 간격은 21일입니다.

2. 모더나

모더나는 미국의 모더나가 개발한 백신입니다. 이 또한, mRNA백신으로 영하 20도에서 보관합니다. 접종 횟수는 2회이며 접종 간격은 28일입니다.

3. 아스트라제네카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에서 만든 백신입니다. 접종 횟수는 2회이며 접종 간격은 8-12주입니다. 

4. 얀센

미국 존슨앤존슨의 계열사 얀센이 개발한 백신입니다. 접종 횟수는 1회입니다. 

5. 스푸트니크V

러시아에서 개발한 백신입니다. 

6. 노바백스

미국 노바백스가 개발한 백신입니다. 백신의 접종 횟수는 2회이며 접종 간격은 21일입니다. 

6. 시노팜

시노팜은 중국에서 개발한 백신입니다. 백신의 접종 횟수는 2회입니다. 

반응형

댓글